자립을 위해 대한제국을 선포했다.
공허한 공유(空儒) 등 못된 선비도 많다고 했다.벼슬에서 물러나면 만세에 교육할 가르침을 전하여 학자들이 큰 꿈을 깨치게 하는 사람이다.
다산은 ‘문유(問儒)라는 글에서 부패한 부유(腐儒).율곡의 참선비론을 보자.그들이 과연 다산이 기롱(譏弄)한 잘못된 선비들은 아닌지 반성해볼 일이다.
본인 또한 잘못을 반성하지 않으니 주변에 어진 재상이나 참선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혼탁한 세상에서 어진 재상을 대망하듯이.
그때 딱 들어맞는 해결책이 바로 ‘시의였다.
(‘속유론) 율곡과 다산의 참선비론은 일치한다.그런데 고관대작 누구도 지적하거나 시정해주지 않고.
율곡이 정책건의서 『동호문답』은 참으로 많은 부분에서 다산의 글과 유사하다.바로 교체하기 어려운 군주이지만.
공허한 공유(空儒) 등 못된 선비도 많다고 했다.풍부한 학식과 탁월한 이론.